오늘은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웃/위/윗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위층/윗층/웃층? 사실 기본 개념만 알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는 문제입니다.
오늘 이해하시면 앞으로 헷갈릴 일이 없으실 거예요.
자, 오늘도 문제부터 시작해 보시죠!

문제
1. 도서관을 가려면 저 위쪽/윗쪽/웃쪽으로 가면 돼.
2. 긍마는 웃어른/위어른/윗어른에게 항상 예의바른 청년이야.
3. 라온이는 웃입술/위입술/윗입술이 조금 더 두꺼워.
자 잘 풀리시나요. 헷갈리신다면 오늘 완벽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죠!
(정답은 하단에 있습니다)

1. 웃-, 윗- 구별법
- 위아래가 대칭 되는 개념이 있는가? 없는가?

우선, 우- 계열과 위- 계열의 차이는 위의 말을 잘 기억해 두시면 됩니다.
대응되는 아래의 개념이 있으면 위- 계열을 쓰시고,
대응되는 아래의 개념이 없으면 우- 계열을 쓰시면 되요.
예를 들어
웃돈을 얹어 주었다. 라는 문장의 웃돈을 보면 대응되는 아랫돈이라는 개념이 없죠?
웃옷을 걸쳐 입었다. 라는 문장에서도 겉옷의 의미로 쓰였기 때문에 아래와 대응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먼저, 구별해 주시면 됩니다!
2. 위- /윗- 구별법
- 뒤에 된소리/거센소리가 나오는가?

이 부분은 이해를 하시면 돼요.
(된소리 - ㄲ, ㄸ, ㅃ, ㅆ, ㅉ / 거센소리 - ㅋ, ㅌ, ㅍ, ㅊ)
'윗배' 같은 경우는 뒤에 나오는 단어가 ㅂ으로 시작하죠? 예사소리입니다. 그러므로 '윗'을 선택하죠.
'위층' 같은 경우는 뒤에 나오는 단어가 ㅊ(거센소리)로 시작하죠? 그러므로 '위'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정리하자면
위-, 윗- 뒤에 나오는 단어가 예사소리일 경우 - 윗
위-, 윗- 뒤에 나오는 단어가 된소리나 거센소리일 경우 - 위
이해가 되시나요? 그럼 다시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죠.
1. 도서관을 가려면 저 위쪽/윗쪽/웃쪽으로 가면 돼.
아래/아랫쪽 있죠? 뒤에 ㅉ이 나오네요
2. 긍마는 웃어른/위어른/윗어른에게 항상 예의바른 청년이야.
아래어른 없죠? 정답 바로 나오네요
3. 라온이는 웃입술/위입술/윗입술이 조금 더 두꺼워.

아래/아랫 입술 있고, 뒤에 ㅇ이 나와요
잘 풀리시나요? 오늘도 공부한다고 수고하셨습니다.
잘못된 부분이나 이해가 가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댓글 남겨주세요!
유용하게 읽으셨다면 공감!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매일 글을 쓰게 하는 힘이 됩니다.
긍마의 국어시간 내일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정답 : 1.위쪽 2. 웃어른 3. 윗입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