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들이시라면 누구나 블로그 유입을 늘리고 싶은 욕구가 있으실 겁니다. 저는 지금까지 제가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글 위주로 글을 써 왔는데요. 블로그에 대해 공부를 하다보니 '키워드'라는 키워드(;;)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유용한 사이트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블랙키위라고 하는 키워드 분석 사이트입니다. 키워드를 분석하시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키워드 마스터를 많이 사용하실 텐데요. 키워드 마스터와 간략하게 비교하며 블랙위키의 특징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블랙키위와 키워드 마스터의 비교
키워드 검색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는 '키워드 마스터'와 ' '블랙 위키'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이슈가 되었던 이국종 교수님에 대한 글을 쓴다고 하고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색란에 '이국종'이라고 치면 각각 이런 검색 결과가 나옵니다.
(키워드 마스터 검색 결과)

(블랙키위 검색 결과)

먼저, 관련 키워드 부분부터 비교해 볼까요? 키워드 마스터를 보면 관련 키워드라는 키워드로 네이버 검색시 나오는 키워드 들이 나열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블랙위키의 경우 연관 키워드와 유사 키워드라는 섹션으로 나뉘는 데요. 큰 차이는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블랙위키에는 기능이 조금 더 추가되어 있습니다.

키워드 옆 부분의 #버튼을 누르면 태그를 복사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복사를 누르면 클립보드에 바로 저장이 되게 하여 글을 쓸 때 태그 활용의 편리성을 도울 수 있게 만들어 두었네요.

그리고 # 옆에 버튼을 누르면 연관 키워드와 관련하여 유사 키워드들의 검색량과 발행량이 바로 드러나게 됩니다. 세부 키워드를 확인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겠죠.

물론 키워드 마스터의 경우도 위의 키워드들을 클릭하면 바로 관련 키워드들의 검색량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건 취향 차이일 듯합니다.
월간 검색량의 경우, 완전히 같은 수치로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구요. 차이점은 키워드 마스터의 경우 지금까지 발행된 총 문서의 양을 보여주는 반면, 블랙위키는 월간 발행량을 제시한다는 점이 차이가 있는 정도로 확인할 수 있네요.
블랙위키 추가 기능
여기에 키워드 분석을 위해 조금 더 추가된 기능이 있더라구요.

커서를 내리면 이번 달 예상 검색량과 함께, 나름의 기준으로 선정한 키워드 포화지수를 알려줍니다. 그러니까 이 키워드가 앞으로 얼마나 검색이 될 것이고, 얼마나 경쟁력이 있는 키워드인지를 계산하여 대신 분석해 준다는 이점이 있죠. 물론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유용할 수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월간 검색량을 보여주네요.

거기에 섹션 배치 순서까지 나와있습니다. 즉, 네이버에서 검색했을 때 블로그가 몇 번째에 위치하는가를 굳이 포털에 가서 검색하지 않아도 확인할 수 있게 만들어 둔 것인데요. 활용도에 따라 굉장히 편리한 기능이라 생각됩니다. 그런데 아쉬운 점은 왜 두 사이트 모두 다음에서의 검색량과 위치는 만들어 주지 못하냐는데 아쉬움이 남는 것 같네요.

가장 하단을 보면 pdf로 이 결과를 다운 받을 수도 있던데, 이건 굳이 필요할까라는 의문이 들긴 했지만, 특정 카테고리에서 지속적으로 결과를 분석하신다면 사용하실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은 들었습니다.
키워드를 분석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먼저 명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키워드 분석을 통해 과연 내가 쓰는 이 글이 포털 사이트에 잘 노출이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두 사이트의 경우 제 생각에 키워드 마스터의 경우 직관적으로 보기에 편리한 듯하고, 블랙키위는 세부정보들이 나와있어서 초보들이 키워드를 분석하는데 조금 더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