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맞춤법

깨끗이 vs 깨끗히 -이, -히 구별법 완벽 정리!

by 긍 마 2020. 4. 2.

우리 부사어 중에 정말 표기를

구별하기 어려운 것이

'-이'와 '-히' 표기입니다.

깨끗이 vs 깨끗히의 답은 '깨끗이'입니다.

그런데 이것만 알려고 오신 것이 아니겠죠?

깊숙이 vs 깊숙히,

느긋이 vs 느긋히

헛되이 vs 헛되히

등등

자주 사용하는  '-이' '-히'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도 조금 어려우실 수 있지만 

최대한 쉽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꼭 끝까지 따라 오셔야 합니다. 앞 부분만 보시면 오히려 오해가 생겨요..)

1단계

'부사어에서 어간 뒤에 붙는 '이'/'히' 표기가 헷갈릴 때'

('-이', '-히' 자리에) -하다가 붙으면 -히

('-이', '-히' 자리에) -하다가 붙지 못하면 -이

간단하게 볼게요.

깊이 vs 깊히가 헷갈린다고 할 때

깊이/깊히 대신 깊하다를 해 보면

불가능하죠?

이럴 때 '깊이'를 쓴다는 말이에요!

이해되시나요?

연습해 보시죠!

문제)

1. 헛되이 vs 헛되히 

2. 말끔히vs 말끔히 

풀리시나요?

1. 헛되하다 불가능하죠? 그러니까 헛되이(O) 헛되히(X)

2. 말끔하다. 가능하죠? 그러니까 말끔히(O) 말끔이(X)

그런데 이런 의문이 드셔야 돼요!

아니 위에서 깨끗이 vs 깨끗히

깨끗하다. 가능하네 그러니까 *깨끗히가 맞잖아! 라고 생각하시면

정말 잘 공부하고 계신 겁니다. 2번으로 넘어가겠습니다.

 

2단계

-하다 앞의 어간

'ㅅ,ㄱ'인 경우 - '이'를 쓴다!

여기까지 외워두시면 돼요!

반듯이 vs 반듯히 의 경우

반듯하다가 가능하지만 -하다 앞에 으로 끝났으니

'반듯이'가 맞아요, 깨끗이 처럼요

끔찍이 vs 끔찍히 의 경우도

끔찍하다가 가능하지만, -하다 앞이 으로 끝났으니??

'끔찍이'가 맞겠죠?!

이해되시나요?

정리하자면

'-하다'가 붙는 경우 -하다 앞의 끝이 ㅅ, ㄱ인 경우 -이/ 깨끗이
-하다 앞의 끝이 ㅅ, ㄱ이 아닌 경우 -히/ 딱히
'-하다'가 붙지 못하는 경우   -이 / 깊이

이렇게 알아두시면 되겠네요

덧붙여

사실 이것만으로는 완벽하게 구별할 수가 없습니다.

줄줄이 짬짬이 다달이(달+달+이) 틈틈이처럼

반복되는 말 뒤에는 '이'를 쓰시면 됩니다.

 

일찍이, 더욱이, 곰곰이 등은 

앞의 내용과는 달리

'-이' 앞에 형태소가 부사입니다(일찍, 더욱, 곰곰)

이럴 때는 '-이'를 쓰시면 됩니다.

 

이게 문법 용어 쓰지 않고 

쉽게 설명하고 싶었는데

하다보니 좀 복잡해 지고 어려운 것도 같네요.

 

 

곰곰 생각하며 쓰다 보니, 1시간이 훌쩍 지나갔네요.

그래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다면,

헛되이 보낸 시간이 아닐 것 같네요.

오늘은 딱히 쉽게 쓴 것 같지는 않아서 마음이 아쉽지만

깨끗이 마음을 비우고, 자야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댓글